

🍀행운의 미국, 홍수에도 옥수수, 밀 등급이 최고기록이라고?

Weekly Grain | 2024년 7월 2주차
금주의 글로벌 곡물 이슈를 간략하게 살펴보세요!
1. 미국 옥수수/대두/밀 등급, 홍수에도 불구하고 기대치 상회
미국 농무부(USDA)는 월요일에 서부 중서부에 폭우가 쏟아졌음에도 불구하고 옥수수와 대두의 양호-우수 비율이 높아 분석가들의 기대치를 상회했다고 발표했습니다. 두 작물 모두 양호에서 우수 비율이 68%를 기록하면서 두 작물의 등급은 2020년 이후 가장 높은 우수 비율을 기록하였습니다.
🔗 원문보기 > US corn, soy, wheat ratings top expectations despite flooding | xm.com
💬 홍수에도 작물 품질, 이상 무
2. 최근 10년 간 최저치가 예상되는 올해 유럽 밀 생산량
지난 봄부터 이어진 기상 이변으로 인해 올해 유럽의 밀 생산량이 기대 이하를 기록할 것이라는 전망입니다. 특히 유럽 국가 중 주요 밀 생산국인 프랑스의 경우, 올해의 밀 생산량이 2,900만 톤에서 3,000만 톤 사이로 예상됩니다. 이는 지난 10년 동안의 평균 생산량보다 11% 낮은 수치이며, 2016년 이후 최저치에 해당합니다.
🔗 원문보기 > Grain Highlights 09.07.2024 | grainsprices.com
💬 기후 변화는 밀 생산량에 큰 타격🥲
3. 아르헨티나 대두 수확량 5년 만에 최고치로 마감
부에노스아이레스 곡물거래소는 목요일 아르헨티나의 2023/24년 생산 대두가 극심한 여름 폭염에도 불구하고 최종 수확량 5,050만 톤으로 마감되었으며, 이는 지난 5년 중 가장 많은 양이라고 밝혔습니다. 거래소는 원래 5,250만 톤의 수확량을 예상했지만, 금주 주간보고서에서 “대두 수확은 끝난 것으로 간주된다”라고 말하며 금년도 대두 수확의 종료를 언급하였습니다.
🔗 원문보기 > argentinas-soybean-harvest-ends-at-five-year-record | hellenicshippingnews.com
💬 아르헨티나 대두 풍년, 가격 인하로 이어지나?
📝 그레인스캐너 코멘트
글, 김종석
결국 시장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요소는 날씨
최근 미국 텍사스 지역의 허리케인으로 인해 항구가 일시적으로 폐쇄되어 물류와 공급망에 차질이 생기는 경우나, 올 봄부터 유럽과 남미 각지에서 이어진 반복적인 홍수 피해로 인해 해당 지역의 농업 생산량이 기대 이하를 기록하는 등, 이와 같은 기상 이변은 국제 곡물 시장에 굉장히 큰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. 농업 생산, 물류, 가격 등에 있어서 기상 이변이 미칠 영향을 자세히 살펴보면 다음과 같이 정리할 수 있습니다.
① 생산량 측면 : 기상 이변으로 인한 작황 피해가 발생하며, 이는 주요 곡물의 생산량 감소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. 예를 들어, 2020년 아이오와주에서 발생한 데레초(폭풍)가 옥수수와 대두 작물에 심각한 피해를 입혀 생산량이 크게 감소한 바 있습니다. 또한, 최근 유럽 지역의 홍수로 인해 곡물 생산량이 감소한 사례도 있습니다. 이러한 기상 이변은 작물의 성장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쳐 수확량을 줄일 수 있습니다.
② 해상 물류와 공급망 측면 : 항구 폐쇄와 물류 차질로 인해 수출입이 지연되며, 글로벌 곡물 공급망의 혼란이 발생합니다. 이는 곡물 가격의 변동성을 높이고, 공급 부족 현상을 초래할 수 있습니다. 예를 들어 올해 초까지 이어졌던 파나마 운하 지역의 가뭄은 전 세계 해운 물류에 큰 영향을 미쳤으며, 이에 따른 곡물 수송 지연과 물류비 상승이 발생했습니다.
③ 곡물 가격에 대한 영향 : 다양한 기상 이변은 곡물 시장에서 불확실성을 증대시켜 가격 변동성을 높입니다. 곡물 생산량 감소와 물류 차질로 인한 공급 부족은 결국 곡물 가격 상승을 초래할 수 있습니다. 예를 들어, 2021년 남미 지역의 가뭄으로 인한 옥수수와 대두 생산량 감소는 코로나-19의 시기와 겹쳐 글로벌 곡물 가격을 급등시킨 바 있습니다.
이러한 요인들을 바탕으로, 최근 곡물 시장은 다양한 기상 이변으로 인해 높은 변동성을 보이며, 앞으로도 많은 농작물들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다양한 기상 상황을 눈여겨 볼 필요가 있습니다.
뉴스레터를 구독하면 더 많은 주요 뉴스를 볼 수 있어요!
그린랩스 그레인스캐너는 주간 뉴스레터를 발송합니다.
그린랩스의 뉴스레터 weekly grain에는 세계 다양한 농업,곡물 소식과 시세정보가 담겨있어요.
바쁜 직장인들이 빠르게 업계 트렌드를 파악하도록 돕는게 저희의 목표입니다.😀
무료로 양질의 뉴스레터를 받아보고 싶다면 아래 버튼을 눌러 뉴스레터를 구독하세요!

🍀행운의 미국, 홍수에도 옥수수, 밀 등급이 최고기록이라고?
Weekly Grain | 2024년 7월 2주차
금주의 글로벌 곡물 이슈를 간략하게 살펴보세요!
1. 미국 옥수수/대두/밀 등급, 홍수에도 불구하고 기대치 상회
미국 농무부(USDA)는 월요일에 서부 중서부에 폭우가 쏟아졌음에도 불구하고 옥수수와 대두의 양호-우수 비율이 높아 분석가들의 기대치를 상회했다고 발표했습니다. 두 작물 모두 양호에서 우수 비율이 68%를 기록하면서 두 작물의 등급은 2020년 이후 가장 높은 우수 비율을 기록하였습니다.
🔗 원문보기 > US corn, soy, wheat ratings top expectations despite flooding | xm.com
💬 홍수에도 작물 품질, 이상 무
2. 최근 10년 간 최저치가 예상되는 올해 유럽 밀 생산량
지난 봄부터 이어진 기상 이변으로 인해 올해 유럽의 밀 생산량이 기대 이하를 기록할 것이라는 전망입니다. 특히 유럽 국가 중 주요 밀 생산국인 프랑스의 경우, 올해의 밀 생산량이 2,900만 톤에서 3,000만 톤 사이로 예상됩니다. 이는 지난 10년 동안의 평균 생산량보다 11% 낮은 수치이며, 2016년 이후 최저치에 해당합니다.
🔗 원문보기 > Grain Highlights 09.07.2024 | grainsprices.com
💬 기후 변화는 밀 생산량에 큰 타격🥲
3. 아르헨티나 대두 수확량 5년 만에 최고치로 마감
부에노스아이레스 곡물거래소는 목요일 아르헨티나의 2023/24년 생산 대두가 극심한 여름 폭염에도 불구하고 최종 수확량 5,050만 톤으로 마감되었으며, 이는 지난 5년 중 가장 많은 양이라고 밝혔습니다. 거래소는 원래 5,250만 톤의 수확량을 예상했지만, 금주 주간보고서에서 “대두 수확은 끝난 것으로 간주된다”라고 말하며 금년도 대두 수확의 종료를 언급하였습니다.
🔗 원문보기 > argentinas-soybean-harvest-ends-at-five-year-record | hellenicshippingnews.com
💬 아르헨티나 대두 풍년, 가격 인하로 이어지나?
📝 그레인스캐너 코멘트
글, 김종석
결국 시장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요소는 날씨
최근 미국 텍사스 지역의 허리케인으로 인해 항구가 일시적으로 폐쇄되어 물류와 공급망에 차질이 생기는 경우나, 올 봄부터 유럽과 남미 각지에서 이어진 반복적인 홍수 피해로 인해 해당 지역의 농업 생산량이 기대 이하를 기록하는 등, 이와 같은 기상 이변은 국제 곡물 시장에 굉장히 큰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. 농업 생산, 물류, 가격 등에 있어서 기상 이변이 미칠 영향을 자세히 살펴보면 다음과 같이 정리할 수 있습니다.
① 생산량 측면 : 기상 이변으로 인한 작황 피해가 발생하며, 이는 주요 곡물의 생산량 감소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. 예를 들어, 2020년 아이오와주에서 발생한 데레초(폭풍)가 옥수수와 대두 작물에 심각한 피해를 입혀 생산량이 크게 감소한 바 있습니다. 또한, 최근 유럽 지역의 홍수로 인해 곡물 생산량이 감소한 사례도 있습니다. 이러한 기상 이변은 작물의 성장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쳐 수확량을 줄일 수 있습니다.
② 해상 물류와 공급망 측면 : 항구 폐쇄와 물류 차질로 인해 수출입이 지연되며, 글로벌 곡물 공급망의 혼란이 발생합니다. 이는 곡물 가격의 변동성을 높이고, 공급 부족 현상을 초래할 수 있습니다. 예를 들어 올해 초까지 이어졌던 파나마 운하 지역의 가뭄은 전 세계 해운 물류에 큰 영향을 미쳤으며, 이에 따른 곡물 수송 지연과 물류비 상승이 발생했습니다.
③ 곡물 가격에 대한 영향 : 다양한 기상 이변은 곡물 시장에서 불확실성을 증대시켜 가격 변동성을 높입니다. 곡물 생산량 감소와 물류 차질로 인한 공급 부족은 결국 곡물 가격 상승을 초래할 수 있습니다. 예를 들어, 2021년 남미 지역의 가뭄으로 인한 옥수수와 대두 생산량 감소는 코로나-19의 시기와 겹쳐 글로벌 곡물 가격을 급등시킨 바 있습니다.
이러한 요인들을 바탕으로, 최근 곡물 시장은 다양한 기상 이변으로 인해 높은 변동성을 보이며, 앞으로도 많은 농작물들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다양한 기상 상황을 눈여겨 볼 필요가 있습니다.
뉴스레터를 구독하면 더 많은 주요 뉴스를 볼 수 있어요!
그린랩스 그레인스캐너는 주간 뉴스레터를 발송합니다.
그린랩스의 뉴스레터 weekly grain에는 세계 다양한 농업,곡물 소식과 시세정보가 담겨있어요.
바쁜 직장인들이 빠르게 업계 트렌드를 파악하도록 돕는게 저희의 목표입니다.😀
무료로 양질의 뉴스레터를 받아보고 싶다면 아래 버튼을 눌러 뉴스레터를 구독하세요!